Logo noline

History of ADHD_Korean

  • Dr. Crichton이 기술한 ADHD 아동

    Dr. Crichton이 기술한 ADHD 아동
    ADHD에 대해 최초로 구체적인 기술을 남긴 이는 스코틀랜드 의사였던 Alexander Crichton(1763~1856) 경. 1798년 저서에서 '정신적으로 가만 있지 못함'에 대해 언급함. "어떤 한 물체에 대해 지속적으로 주의를 기울이는 능력이 없음을 말하며, 대개 일부러 꾸민 듯 혹은 신경이 병적으로 감각이상을 보여서 생기고, 끊임없이 이것저것 집적거리게 된다. 타고나기도 하고 우연히 병에 걸려 생기는 효과일 수도 있다."고 기술함.
  • 호프만 박사 동화책에 ADHD 아동 등장

    호프만 박사 동화책에 ADHD 아동 등장
    독일의 소아과 의사였던 하인리히 호프만이 지은 동화책 속의 '가만있지 못하는 필립 이야기'와 '멍하게 다니는 조니 이야기'  
    '필립 이야기' - 부모와 함께 식탁에 앉은 필립이 부모의 훈계에도 불구하고 가만있지 못하고 계속 움직이며 낄낄거림. 의자를 앞뒤로 흔들다가 뒤로 넘어지면서 식탁보를 잡아 당기는 바람에 식탁 위에 있던 접시나 음식들이 바닥으로 쏟아짐. ADHD의 과잉행동/충동성 우세형에 부합하는 사례.  
    '조니 이야기' - 조니는 학교 가는 길에 하늘에 떠다니는 구름을 쳐다보며 걷고, 사람들이 "멍 때리는 꼬마 조니"라고 놀리는 데도 신경 쓰지 않음. 강아지가 달려들어도 모르고 하늘만 보다가 자빠지기 일쑤. 제비 쳐다보다가 강에 빠지기도 함. ADHD의 하위 유형 중 주의력결핍 우세형을 묘사한 사례로 불릴만 함.
  • Dr. Still이 기술한 ADHD 증상

    Dr. Still이 기술한 ADHD 증상
    1902년 George Frederick Still 경은 'Goulstonian lectures'에서 성인의 ADHD 증상을 최초로 기술함. 1902년 3월 4일, 6일, 11일, 세 차례 런던의 Royal College of Physicians에서 행한 43명의 주의력 문제와 자기 조절 문제가 있는 아동에 대한 강연에서 오늘날의 ADHD와 유사한 아이들을 소개. 지능은 정상이지만 공격적이고, 반항적이며, 규칙을 지키지 않고, 감정이 과도하게 풍부하고, 통제력이 없으며 주의력 유지에 심각한 장애가 있는 아이들이었음. 하지만 이때까지도 이러한 증상을 '도덕적 조절 능력의 병적 결핍'으로 간주하였음.
  • Benzedrine, 학습효과 높여준 'arithmetic pills'

    Benzedrine, 학습효과 높여준 'arithmetic pills'
    1937년 Charles Bradley의 논문 'The behavior of children receiving benzedrine'이라는 논문.
    두통이 있는 아이들을 치료하기 위해 benzedrine을 투여. 실제로 두통에는 그다지 효과가 없었지만 일부 아이들에서 학교 생활에 큰 변화가 있었고 학습효과도 눈에 띄게 좋아짐. 이 약이 'arithmetic pills'로 불리게 됨. ADHD 치료제의 본격적인 사용은 그의 논문 발표 후 25년여가 지나서야 시작되었음.
  • 1941년, 과잉행동과 뇌손상 관련성 지적

    1941년, 과잉행동과 뇌손상 관련성 지적
    1941년 Strauss는 뇌손상 아동에서 여러가지 정신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과잉행동과 뇌손상과의 관련성을 지적함. 오늘날 주의력결핍증상 중 많은 부분이 이미 그의 논문에서 기술한 내용과 일치함. 이후 이러한 과잉행동의 원인으로 뇌염 같은 뇌 손상뿐 아니라 출산 시 뇌손상, 납중독, 간질 등이 보고되면서 기질적 나댐, 안절부절 증후군 등으로 불리게 되었음.
    1950~1960년대에 들어서는 '두뇌손상아동','미세두뇌손상', '미세두뇌기능장애' 등으로 불림.
  • Ritalin 승인

    Ritalin 승인
    1957년 Methylphenidate 성분의 Ritalin이 처음으로 의약품으로 승인됨. 합성은 1944년에 이뤄졌고, 중추신경자극제 성능은 1954년에 알게 되었음. 원래 Ciba사의 화학자인 Leandro Panizzon이 합성하였고, 평소 저혈압인 아내를 위해 테니스 시합 전에 자극제로 사용하였음. 아내의 애칭인 Rita를 본따서 약이름을 Ritalin으로 지었다고 함. 과잉행동이나 주의산만함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나 그때까지도 ADHD 개념은 확립되지 않았음.
  • DSM-II부터 소아기발병 정신질환이 정신 진단분류체계에 포함됨

    DSM-II부터 소아기발병 정신질환이 정신 진단분류체계에 포함됨
    미국 정신의학계의 진단체계인 DSM-II (미국정신의학회 1968)에서 소아기 발병 정신질환을 정식 진단 분류체계로 인정하였음. '미세두뇌손상' 같은 아동들은 '아동기의 과잉행동 반응'이라는 진단을 받게 됨. 진단명에서 알 수 있듯이 여전히 뇌의 기질적 원인보다는 주변 자극에 대한 과도한 '반응' 개념으로 이해하고 있었음. 그때까지도 ADHD는 청소년기가 되면 사라지는 문제로 여겨졌음.
  • DSM-III 주의력결핍장애 공식진단 채택

    DSM-III 주의력결핍장애 공식진단 채택
    1972년 캐나다 McGill 대학의 Virginia Douglas 교수는 이들 아동에서 과잉행동뿐 아니라 주의력저하 문제를 제기하였으며, 그녀의 동료인 Gabrielle Weiss는 장기 추적 연구를 통해 과잉행동증상은 나이를 먹으면서 줄어들지만 주의력문제와 충동조절 문제는 지속된다고 주장함.
    1980년 DSM-III에서는 '주의력결핍장애 (attention deficit disorder: ADD)'를 공식진단으로 채택. 과잉행동증상 여부를 아형으로 분류함.
  • DSM-III-R, ADD에서 ADHD로 진단명 변경

    DSM-III-R, ADD에서 ADHD로 진단명 변경
    1987년 DSM-III-R (APA)에서는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로 진단명이 변경되었고, 1994년 개정된 DSM-IV에서도 ADHD로 쓰이고 있음.
  • The ADHD Report Newletter

    The ADHD Report Newletter
    러셀 바클리 박사가 "The ADHD Report Newletter" 발행 시작. 이 newsletter는 임상가와 부모를 대상으로 ADHD에 관한 최신의 과학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격월 발행됨.
  • 미국의학협회가 ADHD를 질환으로 인정

    미국의학협회가 ADHD를 질환으로 인정
    1998년, 미국의학협회(American Medical Association)가 광범위한 문헌 리뷰를 거쳐, ADHD를 실재하는 질환으로 인정.
  • MTA 연구 결과 발표

    MTA 연구 결과 발표
    1999년 NIMH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시행된 대규모 연구 결과를 발표함. "the Multimodal Treatment Study of ADHD (MTA Study)" - 14개월에 걸친 이 연구를 통해 약물치료가 심리사회적 치료에 비해 더 효과적임이 입증됨. 두 치료를 병합했을 때가 가장 효과적이었음.
  • Concerta FDA 승인

    Concerta FDA 승인
    장기간(약 12시간) 지속되는 methylphenidate 제제인 Concerta가 FDA 승인을 받음. 본격적으로 장기 작용 제제의 시장이 열림.
  • Strattera 승인

    Strattera 승인
    미국 FDA에서 Strattera를 ADHD의 치료제로 승인함. Strattera는 노르에피네프린계에 작용하는 비자극성 제제(non-stimul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