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배경 : 포츠머스 조약(1905)과 뒤이은 을사늑약(1905) 체결
- 내용 : 민종식, 최익현 등 유생과 농민들의 무장 봉기
- 의의 : 무력으로 항일 투쟁을 시작한 초기 독립운동
-
- 배경 : 일제에 의한 고종 강제 퇴위(1907) 및 대한제국 군대 해산
- 내용 : 해산된 군인과 유생들이 다시 무장투쟁
- 대표 인물 : 이인영, 허위 등
-
- 내용 : 고종 황제가 이상설, 이준, 이위종을 국제회의에 파견
- 목적 : 일본의 침략을 알리고 불평등 조약인 을사늑약을 국제사회에 고발하려 함
- 결과 : 입장은 거부 되었으나 국제 여론에 한국 문제를 알림, 고종 강제 퇴위의 직접적 원인이 됨
-
- 내용 : 하얼빈에서 일본의 초대 통감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
- 의의 : 국제적으로 대한제국의 항일 의지를 알림
-
- 배경 : 3·1운동
- 내용 : 독립운동을 통합·조직화하여 중국 상하이에 임시정부 수립
- 주요 인물 : 이승만, 안창호, 김구 등
-
- 배경 : 고종의 죽음과 민족 자결주의 확산
- 내용 : 3월 1일을 기점으로 하여 전국적으로 펼쳐진 비폭력 평화 시위
- 의의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의 계기를 마련
-
- 위치 : 중국 길림성 왕청현 봉오동
- 내용 : 홍범도가 이끄는 대한북로독군부 및 대한신민단으로 구성된 독립군 연합부대가 일본군 소속 월강추격대대를 상대로 유인 매복 작전을 펼쳐 승리한 전투
- 의의 : 독립군의 전략적·조직적 발전 기틀 마련, 대한독립군의 실력 입증과 사기 진작
-
- 내용 : 김좌진이 이끄는 북로군정서군, 홍범도가 이끄는 대한독립군 연합 부대가 백두산 인근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10여 차례 전투 끝에 대승을 거둔 전투
- 의의 : 독립군 역사상 가장 큰 승리, 이후 만주·연해주의 독립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음
-
- 배경 : 순종 황제의 장례식(인산일)
- 내용 : 학생을 중심으로 사회주의자, 천도교 등 다양한 세력이 연합해 전국적으로 일어난 항일 만세운동
- 결과 : 신간회, 근우회 등 사회단체 결성, 1929년 광주학생운동 등 후속 독립운동에 영향을 미쳤음
- 의의 : 학생운동이 독립운동의 주체로 부상하는 계기, 다양한 세력 연합을 통한 반일민족운동의 상징적 사건
-
- 배경 : 차별과 식민지 교육, 일본인 학생의 조선 여학생 성희롱 사건이 계기가 됨
- 내용 : 광주에서 발생한 학생 충돌을 기점으로 학생들이 대규모 항일 시위 진행, 신간회가 이를 지원함
- 의의 : 3·1운동 이후 최대 규모의 민족 운동
-
- 내용 : 김구를 중심으로 한인 애국단 조직(1931), 이봉창·윤봉길을 중심으로 의거 실행
- 의거 내용
- 이봉창 : 일본 도쿄에서 천황 폭살 시도 (1932)
- 윤봉길 : 상하이 훙커우 공원에서 일본군 장성 폭살 (1932)
- 의의 : 임시정부의 존재와 항일 의지를 세계에 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