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독립운동

By JI WON
  • Period: to

    을사의병(1905~1907)

    을사의병: 1905년 11월 ‘을사조약’ 강제 체결을 계기로 전국 각지에서 일어나 1907년 전반기에 걸쳐 활동한 의병
  • 경술국치

    경술국치: 일본이 대한제국의 국권을 강제로 빼앗아 식민지로 만든 사건
  • 3.1운동

    3.1운동

    3.1운동: 고종의 인산일인 1919년 3월 3일에 앞서 한국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3월 1일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운동을 시작한 사건
  • 대한민국임시정부

    대한민국임시정부

    대한민국임시정부: 일제에 침략에서 벗어나 민주공화제의 독립 국가를 건설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주권 자치를 실현하였던 임시정부
  • 봉오동 전투

    봉오동 전투: 1920년 만주 봉오동에서 독립군 부대가 일본 정규군을 대패시킨 전투
  • 청산리 대첩

    청산리 대첩: 1920년 10월 독립군부대가 독립군 토벌을 위해 간도에 출병한 일본군을 청산리 일대에서 10여 회의 전투 끝에 대파한 전투
  • 6.10 만세운동

    6.10 만세운동: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 순종의 장례일을 계기로 학생과 사회주의자, 천도교 등 다양한 세력이 연합해 전국적으로 전개한 항일 만세운동
  • 광주 학생 항일운동

    광주 학생 항일운동 : 전남 광주에서 한⋅일 학생 사이에 일어난 충돌을 계기로, 평소의 민족 차별에 대한 분노와 반일 감정이 폭발하여 일어난 대규모의 반일 학생 시위
  • 상하이 홍커우 의거

    상하이 홍커우 의거

    상하이 홍커우 의거: 윤봉길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특무부대 한인애국단의 단원으로서 1932년 4월 29일 상하이 훙커우공원에서 거행된 일본군의 상하이사변 전승기념행사에 폭탄을 투척하여 일본군 총사령관을 비롯하여 다수의 일본군을 폭살시키는 의거를 단행함
  • 한국 광복군 결성

    한국 광복군 :중국 충칭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산하에 창설된 군대로, 일제에 맞서 무장 항쟁을 전개한 독립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