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이 강제로 외교권을 박탈 → 국권 상실의 시작.
이를 계기로 의병운동이 전국적으로 확대됨. -
고종 강제 퇴위, 군대 해산 → 해산 군인들이 합류하여 대규모 무장 저항 발생.
-
국권 피탈, 대한제국 소멸.
이후 해외 망명 독립운동 본격화. -
서간도에 세워져 독립군 양성의 핵심 기지 역할.
-
전국적 독립 만세 시위.
해외로 확산되어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계기 제공. -
통합 정부 수립, 민주공화제 최초 선포.
외교·무장·교육 활동 전개. -
홍범도·김좌진 등이 일본군을 크게 격파.
-
임시정부 개혁과 통합 논의.
비록 실패했지만 독립운동 노선 다양화 계기. -
일본군 장성과 거물급 인사 처단.
중국 국민당 정부가 임시정부를 공식 지원하는 계기. -
임시정부 직속 군대 조직.
연합군과 협력해 대일 전투 준비. -
8월 15일 일본 패망 → 한반도 독립 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