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독립운동

  • 을사늑약 체결

    일본이 강제로 외교권을 박탈 → 국권 상실의 시작.
    이를 계기로 의병운동이 전국적으로 확대됨.
  • 정미의병

    고종 강제 퇴위, 군대 해산 → 해산 군인들이 합류하여 대규모 무장 저항 발생.
  • 한일병합조약

    국권 피탈, 대한제국 소멸.
    이후 해외 망명 독립운동 본격화.
  • 신흥무관학교 설립

    서간도에 세워져 독립군 양성의 핵심 기지 역할.
  • 3·1운동

    3·1운동

    전국적 독립 만세 시위.
    해외로 확산되어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계기 제공.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통합 정부 수립, 민주공화제 최초 선포.
    외교·무장·교육 활동 전개.
  • 봉오동 전투 / 청산리 대첩

    홍범도·김좌진 등이 일본군을 크게 격파.
  • 국민대표회의

    임시정부 개혁과 통합 논의.
    비록 실패했지만 독립운동 노선 다양화 계기.
  • 윤봉길 의거

    일본군 장성과 거물급 인사 처단.
    중국 국민당 정부가 임시정부를 공식 지원하는 계기.
  • 한국광복군 창설

    임시정부 직속 군대 조직.
    연합군과 협력해 대일 전투 준비.
  • 광복

    8월 15일 일본 패망 → 한반도 독립 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