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0~1945 한국의 독립운동

  • 1905년 을사늑약

    1905년 을사늑약

    외교권 양도 및 통감부 설치 등 국권 침탈
  • 1907년 헤이그 특사 파견

    1907년 헤이그 특사 파견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알리고자 만국평화회의에 특사 파견 (날짜는 만국평화회의의 날짜)
  • 1910년 한일병합조약

    '한일합병조약'으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그 강제성을 내포하기 위해 '한일병합조약'으로 표기
  • 1919년 3.1운동

    전국적 항일 독립 만세 시위, 임시정부 수립 계기
  •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상하이)

    3.1운동으로 진행된 독립선언 이후 결성된 임시 정부
  • 1920년 봉오동 전투

    홍범도를 필두로 한 대한독립군이 일본군을 상대로 승리를 거뒀고, 무장 독립 투쟁의 전환점이 됨
  • 1920년 청산리 전투

    봉오동 전투와 더불어 항일무장투쟁을 상징하는 전투 중 하나로, '청산리 대첩'으로 표기해야 한다는 의견이 존재
  • 1923년 국민대표회의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방향성을 결정하기 위해 상하이에서 개최된 회의
  • 1932년 윤봉길 의사 의거

    한국인의 독립 의지를 전 세계에 알리는 계기이자 항일 무장투쟁의 확산에 기여
  • 1945년 광복

    일제 패망과 함께 한국 독립 실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