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교권 양도 및 통감부 설치 등 국권 침탈
-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알리고자 만국평화회의에 특사 파견 (날짜는 만국평화회의의 날짜)
-
'한일합병조약'으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그 강제성을 내포하기 위해 '한일병합조약'으로 표기
-
전국적 항일 독립 만세 시위, 임시정부 수립 계기
-
3.1운동으로 진행된 독립선언 이후 결성된 임시 정부
-
홍범도를 필두로 한 대한독립군이 일본군을 상대로 승리를 거뒀고, 무장 독립 투쟁의 전환점이 됨
-
봉오동 전투와 더불어 항일무장투쟁을 상징하는 전투 중 하나로, '청산리 대첩'으로 표기해야 한다는 의견이 존재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방향성을 결정하기 위해 상하이에서 개최된 회의
-
한국인의 독립 의지를 전 세계에 알리는 계기이자 항일 무장투쟁의 확산에 기여
-
일제 패망과 함께 한국 독립 실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