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배경 : 청나라의 부패와 무능, 외세의 침탈, 사회 전반의 불만 고조
- 내용 : 1911년 10월 10일 우창에서 군인과 혁명세력이 봉기하여 청나라를 무너뜨린 이후, 여러 지역에서 봉기가 확산됨에 따라 청나라가 붕괴되고 중화민국이 수립됨
- 의의 : 2000년 지속된 중국의 제국 시대를 끝내고 민주 공화정의 기초를 마련, 근대 중국의 시작점이자 중국 최초의 공화국 정부 탄생
-
- 배경 : 제1차 세계대전 후 파리강화회의에서 중국의 영토 일부가 일본에 넘어간 것에 대한 분노와 민족주의 고조
- 내용 : 베이징의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일어난 반일, 반외세 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문화운동과 사회개혁 요구로 발전함
- 의의 : 중국 현대 민족주의 운동과 신문화운동의 출발점이자 공산당 세력의 성장 기반이 됨
-
- 배경 : 국민당과 공산당이 군벌 타도 운동을 벌였으나 이념과 권력 갈등이 심화됨
- 내용 : 국민당 장제스가 공산당을 대대적으로 탄압하며 양측이 갈라짐에 따라 내전 상태에 돌입
- 의의 : 중국 현대사에서 장기 내전과 분열의 시작, 국민당과 공산당 간 대립 구조 확립
-
- 배경 : 일본의 중국 침략 야욕과 만주 지역에 대한 경제·군사적 관심 증대
- 내용 : 일본 관동군이 만주에서 자작극을 일으켜 군사적 침공을 개시, 만주국이라는 괴뢰국을 세움
- 의의 : 중국 내전과 대일 항쟁의 불씨를 당기고 국제적으로 일본의 침략 행위가 문제화 되는 계기가 됨
-
- 배경 : 일본의 만주 점령 이후 중국 전역에 대한 침략 확대, 긴장 고조
- 내용 : 루거우차오 사건을 계기로 전면전이 발발, 난징 대학살 등 참극 발생, 국민당과 공산당이 임시 연합해 항일 전쟁 수행
- 의의 : 아시아 태평양 전쟁의 중국 전선, 중국 국민주의와 공산주의 세력이 결집한 항일 전쟁
-
- 배경 : 제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의 패망으로 중일 전쟁 종료
- 내용 : 일본군 철수 이후 국민당과 공산당 간 내전이 재개되어 격화됨
- 의의 : 내전 승리한 공산당이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하면서 중국 현대사의 결정적 전환점이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