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출판
환경미학의 연구 대상 확장 계기 -
-
필란드, 콜리
: 환경미학 연구자 유입 계기 -
자연환경 위주에서 도시를 포함한 인문환경으로 대상 확장
-
미학계의 대표 학술지, 환경미학 특집호 기획 출간
(벌리언트와 칼슨이 공동 편집)
: 신진 연구자 환경미학 합류 계기 -
-
자연의 미적 감상에서 상상(imagination)의 역할을 강조 : 기존의 대립형 관점에서 벗어난 대안적 제안
-
환경미학의 성숙기
-
통합 미학
-
2차 보완 출간
-
-
-
-
-
-
-
-
-
인류세와 환경미학
-
-
“선, 미, 녹색: 환경주의와 미학(The Good, the Beautiful, the Green: Environmentalism and Aesthetics)”이라는 특집 주제 : 다변화와 다층화
환경미학 과 환경윤리학의 접점(Carlson, 2018; Brady, 2018), 미학적 환경주의(Stewart and Johnson, 2018), 일상의 소비 미학과 환경윤리(Saito, 2018)를 논구하는 경향뿐 아니라 비인간 및 동물의 미학과 윤리학(Cross, 2018)으로까지 확장된 연구 추세 -